라벨이 해양환경정보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1월 이달의 해양생물 ‘문어다리불가사리’, 동해의 생태 지표종

이미지
2025년 11월 이달의 해양생물, 문어다리불가사리 선정 해양수산부 는 2025년 11월 ‘이달의 해양생물’로 문어다리불가사리(Plazaster borealis)를 선정했습니다. 이 불가사리는 강원도와 울릉도, 독도 주변의 수심 15~100m 암반지대에서 서식하며, 일본 홋카이도와 혼슈 북부까지 분포합니다. 몸통은 중앙이 둥글고 부풀어 있으며, 팔이 약 35개로 다른 불가사리에 비해 매우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한대성(寒帶性) 종으로, 해수 온도 변화에 민감하여 기후변화의 지표종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문어다리불가사리의 생태적 특징과 보호 필요성 문어다리불가사리는 수온이 낮은 해역에서 주로 서식하며, 잘 끊어진 팔을 스스로 재생할 수 있는 강한 회복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체색은 적갈색 또는 황갈색 바탕에 불규칙한 무늬가 있으며, 몸 전체가 그물처럼 연결된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는 이 종을 기후변화 해양생태계 지표종 이자 국외반출승인대상종 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는 무분별한 해외 반출을 방지하고, 생태계 균형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구분 내용 학명 Plazaster borealis 분포 한국(강원, 울릉도, 독도), 일본(홋카이도, 혼슈 북부) 서식 수심 15~100m 암반 지대 팔 개수 평균 31~35개 (일반 불가사리 5~10개) 특징 팔 재생력 우수, 한대성 종, 기후변화 지표종 ▲ 2025년 11월 해양생물 문어다리불가사리 (출처: MBRIS) 기후변화 시대의 해양생물 보전 전망 최근 해양 수온 상승으로 인해 문어다리불가사리의 분포 지역이 점차 북상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호 정책이 필요하며, 해양수산부는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종 보전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해양생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정부와 국민의 관심이 함께 이어져야 할 것입니다. 문어다리불가사리에 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