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로 절기 뜻과 유래, 특징까지 한눈에 정리!
자연이 숨 쉬는 계절, 백로(白露)
백로는 24절기 중 열다섯 번째 절기로, 음력 8월 초 무렵에 해당합니다. 이름 그대로 풀잎에 하얀 이슬이 맺히는 시기로, 더위가 완전히 물러가고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입니다. 아침저녁으로 기온이 뚝 떨어지며, 자연도 점차 단풍으로 옷을 갈아입기 시작합니다.
백로의 뜻과 유래
'백로'는 한자로 '흰 백(白)', '이슬 로(露)'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밤 사이 기온이 떨어지며 대기 중 수증기가 응결되어 이슬로 맺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농경사회에서는 이 시기를 기준으로 가을 수확 준비를 시작했고, 조상들은 백로 무렵의 기후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백로 시기의 날씨와 생활 정보
백로가 되면 일교차가 커지기 때문에 건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이 시기는 벼가 익어가고 과일이 무르익는 시기이기도 해, 농촌에서는 수확의 손길이 분주해집니다. 예로부터 백로에는 조상에게 햅쌀과 과일을 바치는 풍속도 전해 내려옵니다.
앞으로의 절기 변화와 생활 팁
백로 이후에는 점점 낮이 짧아지고 공기가 더욱 차가워지며, 본격적인 가을로 접어듭니다. 이 시기에는 가을 감기나 알레르기에 대비해 옷차림을 조절하고, 제철 음식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백로는 계절의 변화를 가장 먼저 알리는 신호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절기 속 24절기와 백로의 위치
절기 | 시기 | 간단 요약 |
---|---|---|
입춘 | 2월 4일경 | 봄의 시작 |
우수 | 2월 19일경 | 눈 녹고 비 내림 |
경칩 | 3월 5일경 | 개구리가 겨울잠 깸 |
춘분 | 3월 20일경 | 낮과 밤이 같음 |
청명 | 4월 4일경 | 날씨 맑고 높음 |
곡우 | 4월 20일경 | 비와 농사 시작 |
입하 | 5월 6일경 | 여름 기운 시작 |
소만 | 5월 21일경 | 만물이 자람 |
망종 | 6월 6일경 | 모내기 적기 |
하지 | 6월 21일경 | 낮이 가장 김 |
소서 | 7월 7일경 | 덥기 시작 |
대서 | 7월 22일경 | 무더위 극성 |
입추 | 8월 7일경 | 가을 기운 시작 |
처서 | 8월 23일경 | 더위 누그러짐 |
백로 | 9월 8일경 | 하얀 이슬 맺힘 |
추분 | 9월 23일경 | 밤이 길어짐 |
한로 | 10월 8일경 | 찬 이슬 맺히기 시작 |
상강 | 10월 23일경 | 서리 내릴 무렵 |
입동 | 11월 7일경 | 겨울 시작 |
소설 | 11월 22일경 | 눈 오기 시작 |
대설 | 12월 7일경 | 눈 많이 옴 |
동지 | 12월 22일경 | 밤이 가장 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