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25의 게시물 표시

2025년 9월 산업활동동향 요약: 생산↑ 투자↑ 소비는 숨고르기

이미지
2025년 9월 산업활동, 생산 늘고 소비는 숨고르기 국가데이터처 가 발표한 ‘2025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우리 경제는 전반적으로 생산이 늘고 소비는 소폭 둔화 된 가운데, 투자와 경기 지표가 개선세를 보이며 회복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통계는 산업 전반의 움직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자료로, 경제 체온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평가됩니다. 생산: 서비스업이 견인, 반도체가 중심 9월 전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0% 증가 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이 자동차(-18.3%)와 기계장비(-6.9%) 부진으로 1.2% 줄었으나, 서비스업 생산이 1.8% 늘며 전체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반도체(19.6%) 가 생산 확대를 주도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전체 생산이 6.7% 증가 했습니다. 구분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전산업생산 +1.0 +6.7 광공업 -1.2 +11.6 서비스업 +1.8 +6.2 소비: 내구재는 선전, 의복은 주춤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보다 0.1% 감소 했습니다.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는 3.9% 증가 했으나, 의복(-5.7%) 등 준내구재와 차량연료(-0.1%) 등 비내구재 소비가 줄었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11.1% 늘어, 소비심리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습니다. 투자: 설비·건설 모두 큰 폭 증가 기업의 투자 움직임은 활발했습니다. 9월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2.7% 증가 했으며, 특히 반도체 제조용 기계와 운송장비 투자가 대폭 늘었습니다. 건설기성도 11.4% 증가 해, 5개월 만에 반등했습니다. 다만 건설수주는 전년보다 8.6% 감소해 향후 변동성은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기: 완만한 회복 흐름 지속 경기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 하며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갔습니다. 선행지수도 0.1포인트 올랐는데, 이는 수출입 가격 비...

2025년 9월 주택거래량 23.6% 급증, 수도권 중심 회복세 뚜렷

이미지
2025년 9월 전국 주택거래량 급증 배경 최근 국토교통부 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9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63,365건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37.0%, 전년 동월 대비 23.6% 증가한 수치로, 올해 들어 가장 활발한 거래 흐름을 보였습니다. 수도권의 회복세가 특히 뚜렷하며, 서울의 거래량은 전월 대비 50.8%나 상승했습니다. 경기와 인천도 꾸준히 거래가 늘며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 구분 ’25.9월 거래량(건) 전월 대비 증감률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전국 63,365 +37.0% +23.6% 수도권 31,298 +44.4% +21.2% 서울 10,995 +50.8% +34.0% 지방 32,067 +30.5% +26.1% 전월세 거래량과 주택유형별 동향 전월세 거래량 역시 상승세를 보이며 임대시장도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9월 전체 전월세 거래는 230,745건으로 전월 대비 7.9%, 전년 대비 21.4% 증가했습니다. 특히 아파트 전월세 거래는 11만 건을 넘어서며 월세 비중이 62.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의 월세 거래는 전년 대비 31.4% 늘어 실거주 수요가 여전히 강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 2025년 9월 주택거래량 및 전월세 현황 (출처: 국토교통부) 향후 주택시장 전망 거래량 회복은 정부의 대출규제 완화와 금리 인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다만, 지방 일부 지역은 아직 예년 평균을 하회하고 있어 회복세의 온도차는 존재합니다.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수도권 중심의 거래 활성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며, 정책 안정성과 실수요 중심의 시장 구조가 유지될 경우 완만한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9월 미분양 주택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