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플라즈마인 게시물 표시

플라즈마 기반, 감귤 부패 줄이는 기술 개발

이미지
농촌진흥청은 감귤 부패의 주요 원인인 곰팡이 살균에 효과적인 플라즈마를 기반으로 하는 감귤 살균 기술을 개발하고, 13일 제주 감귤연구소에서 현장연시회를 엽니다. 일반적으로 감귤을 저장하는 경우 저장 감귤의 15~20%가 썩고 있지만, 현재 저장된 감귤을 살균할 수 있는 기술이 없어 농가에서는 부패 감귤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번에 개발한 살균 기술은 저온플라즈마를 활용한 것으로, 플라즈마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농도 1~2ppm의 가스(오존, 이산화질소 등)로 감귤을 살균해 표면의 곰팡이와 세균의 증식을 막는 원리입니다. 플라즈마 발생기는 석영, 알루미늄 등으로 만든 원통-코일형 플라즈마 발생원을 사용합니다. 발생원(200W, 60Hz)은 원하는 수만큼 구성할 수 있으며, 탈착이 쉬워 유지 보수가 편리합니다. 또한 이 기술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저장고 크기나 적재된 귤의 양에 상관없이 저장고 내부를 골고루 살균할 수 있는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 농촌진흥청 수확후관리공학과 이를 적용한 결과, 10주간 살균한 감귤이 무처리 감귤에 비해 표면의 곰팡이는 1/13, 호기성 세균2)은 1/267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 곰팡이: 무처리 2.2x102 CFU/ml → 처리 16.1 CFU/ml * 호기성 세균: 무처리:1.9x103 CFU/m → 처리:7.1 CFU/ml * 호기성 세균: 산소가 있어야만 살 수 있는 세균 플라즈마 처리한 감귤과 무처리 감귤의 품질은 당도, 경도, pH, 색 등에서 차이가 없어 이에 따른 품질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촌진흥청은 내년 초에 이 기술을 관련 업체에 기술 이전하고 산업화할 계획입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수확후관리공학과 성제훈 과장은 "이 기술이 감귤의 저장 기간을 늘리고 품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농촌진흥청

우주폭풍과 별빛을 관측하는 ‘차세대소형위성 1호’ 발사 성공

이미지
▲ 차세대소형위성 1호 발사 장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기술원(이하 ‘카이스트’)은 12월 4일(화) 오전 3시 34분경(현지기준 12월 3일(월) 오전 10시 34분경) ‘차세대소형위성 1호’가 미국 반덴버그(Vandenberg) 공군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고 밝혔다.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발사 후 약 80분 뒤 북극에 위치한 노르웨이 스발바르(Svalbard) 지상국과 최초 교신에 성공하였고, 첫 교신 후 약 100분 뒤에 두 번째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발사 후 6시간 31분 뒤인 12월 4일(화) 오전 10시 5분(한국시간)에는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에 위치한 국내 지상국과의 최초 교신을 통해, 위성이 고도 575km의 정상궤도에 진입하여 태양 전지판이 정상적으로 펼쳐졌으며, 배터리 전압 및 내부 온도 등 위성체의 전반적인 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앞으로 약 3개월간 궤도상에서 위성체 및 탑재체의 기능시험 등 초기 운영 과정을 거친 후 내년 2월부터 정상 임무를 수행할 예정으로, 향후 약 2년간 태양폭발에 따른 우주방사선과 플라즈마 상태를 측정하고, 은하 속 별들의 적외선 분광을 관측하는 등 우주과학 연구에 활용될 영상자료를 국내 관련기관에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대학 및 산업체가 개발한 7개 핵심기술에 대해 우주환경에서의 성능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우주기술 국산화 및 자립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차세대소형위성 1호와 함께 발사한 위성 중에는「2015년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선정된 서울대학교와 한국항공대학교의 큐브위성 3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 가로, 세로, 높이가 각 10cm인 정육면체를 기본단위로 규격화된 초소형위성 이번 큐브위성은 관심지역 탐사, 이중주파수 GPS 수신기 검증, 성층권 이상 고층 대기의 방전현상 관측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최원호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번 차세대소형위성 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