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퇴직연금인 게시물 표시

2023 연금통계로 보는 노후 준비 현실과 과제

이미지
2023년 연금통계로 본 노후준비의 현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는 약 864만 명 으로 전체 고령 인구의 90.9%에 달하며, 전년 대비 5.6% 증가했습니다. 수급자 1인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도 69만 5천 원 으로, 전년보다 6.9% 상승해 연금이 점차 중요한 노후소득원이 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수치는 올랐지만, 격차는 여전 남성과 여성, 등록취업자와 비등록자 간의 연금 수령액 격차는 여전히 큽니다. 남성은 평균 90만 원을 받는 반면 여성은 52만 원에 그쳤으며, 주택 소유자도 비소유자보다 평균 수급액이 33만 원 이상 많았습니다. 반면 18~59세 연금 가입자는 소폭 감소했고, 월평균 보험료는 34만 4천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생활 속 의미 이 수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닌, 은퇴 후 삶의 질을 결정짓는 기준이 됩니다. 매달 연금을 안정적으로 받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사회 전반의 경제 불안정성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준비된 노후가 곧 건강한 사회로 이어지는 이유입니다. 향후전망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며 연금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정부는 수급 사각지대 해소와 가입률 제고를 위한 정책 강화를 예고하고 있어, 연금제도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진화를 거듭할 것으로 보입니다.

퇴직연금 공동세미나 개최

이미지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과 한국연금학회가 공동으로 오는 6월 29일 ‘근로자 노후소득 강화를 위한 퇴직연금제도 합리화 방안’이라는 주제로「퇴직연금 공동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 사회 진입과 전 세계적인 저금리 환경 속에서 근로자의 노후소득 보장을 위한 퇴직연금의 역할과 발전방안 모색을 위해 마련됐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성주호 경희대학교 교수가 ‘고령화시대 퇴직연금의 진화 로드맵’을 제시하고, 김재현 한국연금학회장이 ‘퇴직연금 적립금운용 개선을 위한 다각적 방안’에 대하여 발표한다. 이어지는 종합토론에서는 노·사단체,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제시된 개선방안에 대한 정책 수립 가능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홍성진 근로복지연구원장과 김재현 한국연금학회장은 “이번 공동세미나에서 제기되는 퇴직연금제도의 문제와 개선에 관한 각계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근로자의 노후소득 보장이 강화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출처 : 고용노동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