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1월 수출입 동향

2018년 11월 수출입 동향
▲ 연간 수출액 및 수출증감률 추이

2018년 11월 수출입 동향
▲ 연간 수입액 및 수입증감률 추이


1. 11월 수출입 동향 개요

(금액) 11월 수출 519.2억달러(전년동기대비 4.5%), 수입 467.8억달러(11.4%), 무역수지 51.4억달러 흑자 기록(82개월 연속 흑자)

역대 3위 기록, 사상 최초 7개월 연속 및 연간 8번째 500억 달러 돌파

* 月 수출액(억 달러) : (2018.1)492.2→(2)445.3→(3)513.2→(4)498.6→(5)507.0→(6)511.0→(7)518.1→(8)511.8→(9)506.2→(10)549.4→(11)519.2
* 月 500억 달러 초과 수출 : (2013)1회→(2014)2회→(2015∼2016)0회→(2017)3회→(2018.1∼11월)8회
* 1956년 무역통계 작성 이래 7개월 연속 500억 달러 돌파는 사상 최초

(일평균 수출) 일평균 수출금액은 21.6억 달러, 4.5% 증가

*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 (2018.6)23.8→(7)21.6→(8)21.3→(9)26.0→(10)23.9→(11)21.6일평균 수출 증감률(%) : (2018.6)6.6→(7)3.9→(8)8.7→(9)10.7→(10)△4.0→(11)4.5

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금액은 20.8억 달러, 1.9% 증가

* 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 (2018.7)20.9→(8)21.0→(9)25.2→(10)23.2→(11)20.8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 증감률(%) : (2018.7)15.0→(8)13.1→(9)14.1→(10)0.8→(11)1.9

(단가·물량) 수출 단가는 4.0% 증가, 물량도 0.5% 증가

* (단가) 무선통신·디스플레이 등 하락에도 불구, 석유제품·철강·가전 등 상승 영향
* (물량) 컴퓨터·석유화학 하락에도 불구, 일반기계·선박·자동차 등 상승 영향

(원화표시 수출) 전년동기 대비 수출 증가로 원화표시 수출 6.7% 증가

* 원/달러 환율(₩/$) : (2017.11월) 1,105.0 → (2018.11월) 1,128.6(2.1%)

2. 11월 수출 주요 특징

11월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4.5% 증가한 519.2억 달러로 역대 3위

* 역대 수출 상위기록(억 달러) : (1위)551.2(2017.9) (2위)549.4(2018.10) (4위)518.1(2018.7)

사상 최초 7개월 연속 및 연간 8번째 500억 달러 이상 수출

* 月 수출액(억 달러) : (2018.1)492.2→(2)445.3→(3)513.2→(4)498.6→(5)507.0→(6)511.0→(7)518.1→(8)511.8→(9)506.2→(10)549.4→(11)519.2
* 月 500억 달러 초과 수출 : (2013)1회→(2014)2회→(2015∼2016)0회→(2017)3회→(2018.1∼11월)8회

역대 11월 수출 중 최초로 500억 달러 돌파, 일평균 수출도 21.6억 달러로 역대 11월 중 최대 실적

* 역대 11월 수출액(억 달러) : (2014)466.1→(2015)442.9→(2016)453.1→(2017)497.1→(2018)519.2
* 역대 11월 일평균 수출 상위기록(억 달러) : (2위) 20.713(2014.11), (3위)20.711(2017.11)
1∼11월 누적 수출액도 5,572억 달러(+6.2%)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 유지 중

* 역대 1∼11월 수출액 상위기록(억 달러) : (2위)5,247(2017년), (3위)5,232(2014년)

1∼11월 일평균 수출도 22.5억 달러(+6.0%)로 사상 최대 실적

* 역대 1∼11월 일평균 수출 상위기록(억 달러) : (2위)21.24(2017년), (3위)21.18(2014년)

11월 수출 증가요인은 ①세계 제조업 경기 호조, ②주요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세 유지, ③주력제품 단가 상승 등에 기인

* 글로벌 제조업 PMI(JP Morgan, 2018.10) : (2018.1Q)53.9→(2Q)53.2→(3Q)52.5→(10)52.1
* 주요국 GDP 증가율(2018.2Q, 전년동기 대비, %) : (美)2.9, (中)6.7, (日)1.3, (EU)2.2
* 석유화학 수출단가($/톤, 전년비%) : (2017.11)1,221 → (2018.11e)1,320(+8.1%)* 석유제품 수출단가($/B, 전년비%) : (2017.11)70.6→(2018.11e)85.5(+21.1%)

품목별로는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일반기계·석유화학·석유제품·선박 등 6개 수출 증가, 증가한 품목 중 반도체·석유제품·선박 등 3개 품목 두 자릿수 이상 증가

* 11월 수출 증가품목(6개) :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석유제품, 철강, 선박, (밑줄 친 3개 품목은 두 자릿수 증가)
※ '18.11월 품목별·지역별 수출 증감(률)은 11.1∼20일 기준

일반기계 수출(46.7억 달러, 0.8%)은 사상 최초 9개월 연속 40억 달러 초과 달성

반도체 수출(106.8억 달러, 11.6%)은 7개월 연속 100억 달러 돌파

선박 수출(20.8억 달러, 158.4%)은 9개월만에 증가로 전환

석유화학(40.3억 달러, 3.8%)도 사상 최초 12개월 연속 40억 달러 초과

석유제품(42.2억 달러, 23.5%)도 13개월 연속 30억 달러 이상 수출

주력 업종 내 고부가가치 품목인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 수출(10.0억 달러, 12.9%)은 증가세 지속

유망소비재는 생활용품·의약품·패션의류 등 대부분 품목 다변화 진전

지역별로는 對아세안·미국·EU·일본·베트남·인도·CIS 증가, 이중 신남방지역인 아세안과 신북방지역인 CIS 지역 및 EU·인도는 두 자릿수 증가

對아세안 수출(94.1억 달러, +13.0%)은 반도체·석유제품·디스플레이 수출 호조로 역대 최고 기록 경신

* 아세안 수출 상위기록(억 달러) : (2위)91.2(2017.9), (3위)88.1(2018.10) (4위)85.9(2018.3)

對CIS 수출(10.7억 달러, +46.2%)은 5개월 연속 증가

對미국 수출(68.9억 달러, +7.9%)은 2개월 연속 증가

인도, 인니 등 전략 4개 신흥국 수출은 일반기계, 자동차,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7.1% 증가하여 시장 다변화 진전

* (증가율, %) : (인도)11.8, (인니)7.2, (러시아)18.7, (브라질)△19.0 (4개국 합)7.1

3. 품목별·지역별 수출 동향

(주력품목)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일반기계·석유화학·석유제품·선박 등 6개 수출 증가, 증가한 품목 중 반도체·석유제품·선박 등 3개 품목 두 자릿수 이상 증가

* 13대 품목 수출 증감률(%) : (2018.6)△2.5→(7)3.8→(8)11.0→(9)△8.2→(10)20.2→(11)5.2

* 수출 증감률(%) : (선박)158.4 (석유제품)23.5 (반도체)11.6 (석유화학)3.8(철강)2.7 (일반기계)0.8 (차부품)△0.5 (섬유)△0.8 (자동차)△2.0 (디스플레이)△10.0 (컴퓨터)△10.8 (가전)△16.8 (무선통신기기)△42.2

1) 수출 증가 품목

(반도체) 지속적인 메모리 수요증가에 따른 수출 호조세 유지 ⇒ 7개월 연속 100억 달러 초과(106.8억 달러, +11.6%), ③26개월 연속 증가

* D램 현물가격(DDR4 4Gb, $) :(2018.1)4.90→(3)4.63→(5)4.13→(7)3.99→(9)3.66→(11e)3.35NAND 현물가격(MLC 64Gb, $) :(2018.1)4.03→(3)3.94→(5)3.70→(7)3.42→(9)3.07→(11e)2.90
* 글로벌 기업형․대규모 데이터센터 규모(sites, %) : (2017년)7,073→(2018년)7,297(+3.2%)
* 수출 증감률(%) : (2018.1)53.3→(2)40.8→(3)44.2→(4)37.0→(5)44.4→(6)39.0→(7)31.6→(8)31.5→(9)28.3→(10)22.1→(11)11.6

(일반기계) ①美 설비투자 증가, SOC투자·주택경기 호조세, ②인도 정부 인프라 투자 증가, ③국내 완성차업체 인도 현지공장 설립('17.10∼'19.9) ⇒ 9개월 연속 40억 달러(46.7억 달러, 0.8%) 이상 수출* 美 S&P 케이스쉴러 : (2018.1Q)197.5→(2018.2Q)202.7→(7)205.4→(8)205.8* 11.1-20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미국)4.8(9.5%), (EU)3.4(4.8%), (인도)1.3(47.7%)
* 수출 증감률(%) : (2018.1)27.2→(2)△3.4→(3)5.9→(4)8.4→(5)15.1→(6)1.4→(7)18.2→(8)16.1→(9)△2.6→(10)51.7→(11)0.8

(석유화학) ①수출 단가 상승, ②국내 기업의 신규설비 정상 가동에 따른 물량 증가 등 영향, ③중국·아세안·EU 등 지역에서 호조세 ⇒ 12개월 연속 40억 달러(40.3억 달러, 3.8%) 이상 수출

* 수출단가($/톤, 전년비%) : (2017.11)1,221 → (2018.11e)1,320(+8.1%)수출물량(천톤, 전년비%) : ('17.11)3,180 → ('18.11e)3,278(+3.1%)
* 수출 증감률(%) : (2018.1)18.5→(2)6.5→(3)0.6→(4)12.0→(5)27.2→(6)17.2→(7)24.4→(8)17.6→(9)△5.4→(10)42.7→(11)3.8
* 11.1-20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중국)12.4(4.2%), (아세안)3.1(14.2%), (EU)2.0(31.0%)(베트남)1.2(19.7%), (일본)1.1(24.9%)

(석유제품) ①국내 기업의 고도화설비(43,000b/d) 정기보수에 따른 수출물량 감소에도 불구, ②세계 석유수요 증가 및 경질유(경유, 항공유) 중심의 정제마진 호조 ⇒ 25개월 연속 증가, 13개월 연속 30억 달러(42.2억 달러, 23.5%) 수출 돌파

* 세계 석유 수요 (IEA, 백만 B/D): (2017.4Q)98.7→(18.1Q)98.4→(18.2Q)98.7→ (18.3Qe)99.8→(18.4Qe)100.3
* 수출단가($/B, 전년비%) : (2017.11)70.6→(2018.11e)85.5(+21.1%)
* 수출물량(만배럴): (2017.11)4,840 → (2018.11e)4,647(△4.0%)* 경 유 수출액(억 달러): (2017.11)10.7 → (2018.11e)15.0(+40.1%)* 항공유 수출액(억 달러): (2017.11)7.4 → (2018.11e)8.5(+14.9%)
* 수출 증감률(%) : (2018.1)31.1→(2)14.2→(3)1.6→(4)58.4→(5)41.5→(6)69.2→(7)44.1→(8)47.7→(9)15.4→(10)75.0→(11)23.5

(철강) ①글로벌 수입규제로 인해 수출 물량 감소에도 불구, ②수출단가 상승세 지속 ⇒ 2개월 연속 증가

* 철강재 수출단가($/톤) : (2017.11)904→(2018.6)974→(8)937→(9)961→(10)974→(11e)940
* 수출 증감률(%) : (2018.1)17.1→(2)△10.1→(3)6.1→(4)△7.7→(5)△0.9→(6)△2.2→(7)33.7→(8)20.6→(9)△43.7→(10)22.1→(11)2.7

(선박) ①EU(그리스·핀란드)·아세안(싱가포르)을 중심으로 대형 운반선 통관, ②작년 11월 선박 수출 기저효과(8.0억 달러, △77.1%) ⇒ 9개월만에 수출 증가로 전환
* 11.1-20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EU)9.0(8,597.3%), (아세안)2.6(1,020.8%)
* 수출 증감률(%) : (2018.1)11.8→(2)29.7→(3)△31.0→(4)△75.1→(5)△66.3→(6)△82.2→(7)△73.3→(8)△72.3→(9)△55.6→(10)△55.0→(11)158.4
< 수출 감소 품목 >

(자동차) ①최대시장인 미국·EU시장 중심으로 신형 SUV· 친환경차 등의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②중동지역 수출 부진 및 유럽지역의 강화된 환경규제 적용에 따른 일부 차종 수출 부진

* 11.1-20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미국)8.7(15.6%), (EU)4.2(16.7%), (중동)2.2(△3.8%)
* 수출 증감률(%) : (2018.1)13.3→(2)△14.5→(3)△8.8→(4)△8.6→(5)△0.8→(6)△9.9→(7)△13.7→(8)0.3→(9)△22.4→(10)35.7→(11)△2.0

(디스플레이) ①OLED는 프리미엄 TV 수요 증가와 ②중소형 신제품 출시 및 거래처 다각화 등으로 호조세를 보이나, ③LCD 가격 하락 및 출하량 감소

* LCD 단가(2017.11→2018.11e,$) : [55''TV]177→156(△11.9%), [65''TV]340→241(△29.1%)
* 한국 TV용 LCD 출하량(백만개) : (2017.11)8.4 → ('18.11e)7.6(△9.3%)
* 수출 증감률(%) : (2018.1)△7.7→(2)△22.4→(3)△16.5→(4)△16.3→(5)△21.0→(6)△10.5→(7)2.4→(8)4.2→(9)△12.1→(10)△7.9→(11)△10.0

(차부품) ①美·EU·CIS 지역의 판매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②중국·중남미의 국내 완성차 판매 감소 및 ③중동지역 경기회복 둔화

* 11.1-20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미국)3.3(30.2%), (EU)2.2(7.6%), (CIS)1.3(92.8%)(중국)1.7(△29.0%), (중남미)1.4(△5.2%), (중동)0.5(△38.4%)
* 수출 증감률(%) : (2018.1)△6.7→(2)△17.8→(3)△11.1→(4)6.5→(5)14.5→(6)1.5→(7)7.1→(8)0.3→(9)△18.3→(10)36.8→(11)△0.5

(무선통신기기) ①10월 신제품 출시에도 불구하고, ②해외생산 확대, 프리미엄 및 중저가 제품 모두 경쟁심화

* 수출 증감률(%) : (2018.1)△10.2→(2)△34.5→(3)△24.5→(4)△42.2→(5)△0.8→(6)△1.8→(7)4.5→(8)△16.1→(9)△33.1→(10)△18.2→(11)△42.2

(섬유) ①섬유원료 가격 강세 지속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②美·EU등 선진국과 중남미 지역 수출 호조세에도 불구, ③해외생산 확대 및 ④직물류 가격경쟁 약화
* 수출단가 증감률(%) : (2018.5)2.4→(6)1.9→(7)1.5→(8)6.0→(9)△1.1→(10)6.0→(11e)4.4* 11.1-20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미국)0.8(17.0%), (EU)0.6(9.9%), (중남미)0.3(11.1%)
* 수출 증감률(%) : (2018.1)19.8→(2)△5.2→(3)0.7→(4)5.1→(5)10.0→(6)1.0→(7)6.4→(8)2.1→(9)△20.1→(10)30.3→(11)△0.8

(컴퓨터) ①대용량 정보처리·저장용 고성능 SSD 수출 호조 지속에도 불구하고, ②모니터 부품 등 부분품 감소 영향
* SSD 글로벌 수요전망(IHS, 억 달러) : ('17)158.3→('18)167.0→('19)171.3
* 글로벌 SSD시장 성장률(IDC, %) : ('17.3Q)8.0→(4Q)4.0→('18.1Q)17.6→(2Q)18.1* 글로벌 SSD 시장규모(2018.2Q, IDC) : 출하량(5,264만대, +18.1%), 매출액(72.2억불, +17.3%)
* 수출 증감률(%) : (2018.1)38.5→(2)29.4→(3)61.7→(4)23.5→(5)28.0→(6)48.5→(7)9.5→(8)11.7→(9)5.6→(10)3.3→(11)△10.8

(가전) ①프리미엄 가전시장에서의 국내기업 경쟁력 확대에도 불구, ②해외생산 확대, ③미국·EU·중국 등 기업과 경쟁 심화

* 11.1-20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미국)1.1(△24.6%), (EU)0.4(△17.4%), (중국)0.3(△19.6%)
* 수출 증감률(%) : (2018.1)△9.0→(2)△20.6→(3)△22.3→(4)△20.3→(5)△15.3→(6)△21.7→(7)△16.0→(8)△25.3→(9)△35.8→(10)5.5→(11)△16.8

(유망 품목) 고부가가치 품목인 OLED 수출 증가, 유망 소비재는 생활용품·의약품 등 4개 품목 수출 증가

* 수출 증감률(%) : (OLED)12.9 (생활용품)11.1 (화장품)9.4 (패션의류)2.9 (의약품)0.7 (농수산식품)△5.3 (MCP)△32.2 (SSD)△34.6

2) 고부가가치 품목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는 ①프리미엄 TV 수요 증가, ②중소형 OLED 신제품 출시 및 ③거래처 다각화 ⇒ 수출 증가

* 수출 증감률(%) : (2018.1)17.6→(2)△9.3→(3)0.5→(4)△2.0→(5)△18.2→(6)12.5→(7)44.4→(8)52.9→(9)6.4→(10)△2.6→(11)12.9

SSD(차세대 저장장치)는 ①수요 증가세(기업용서버 및 개인용PC 등)가 지속되나, ②중국내 美·日 기업등과 경쟁 심화, ③전년도 기저효과(5.8억 달러, +27.8%)

* 수출 증감률(%) : (2018.1)67.3→(2)57.8→(3)99.8→(4)34.1→(5)36.7→(6)75.0→(7)7.3→(8)0.1→(9)10.3→(10)△7.6→(11)△34.6

MCP(복합구조칩 집적회로)는 ①중국 스마트폰 출하 둔화, ②전년도 기저효과(27.1억 달러, +57.3%)

* 수출 증감률(%) : (2018.1)112.3→(2)74.2→(3)73.6→(4)46.0→(5)20.2→(6)△10.5→(7)△19.9→(8)△6.6→(9)△18.8→(10)△30.9→(11)△32.2

3) 유망 소비재

생활유아용품은 ①문구·가구·가방류 중심으로 증가하였고, ②對중국·미국·아세안 지역의 호조세 유지 ⇒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 11.1-20일 수출/증감률(백만 달러) : (문구)124.2(4.3%), (가구)70.2(11.4%), (가방)18.2(46.1%)(중국)73.4(2.4%), (미국)70.7(15.2%), (아세안)58.4(11.9%)
* 수출 증감률(%) : (2018.1)15.3→(2)△2.5→(3)△1.1→(4)2.2→(5)9.9→(6)3.2→(7)△39.5→(8)△64.2→(9)△18.6→(10)30.4→(11)11.1

의약품은 ①미국·아세안·중국 등 지역에서 ②바이오의약품·항생제원료, 의약품 원료 등 호조세 ⇒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 11.1-20일 수출/증감률(백만 달러) : (미국)50.4(363.2%), (아세안)19.7(9.0%),(중국)18.0(33.6%), (바이오의약품)182.4(20.3%)(항생제)12.6(19.4%), (의약품원료)3.5(67.3%)
* 수출 증감률(%) : (2018.1)51.1→(2)1.6→(3)71.2→(4)86.0→(5)76.6→(6)△7.9→(7)35.6→(8)41.1→(9)△34.7→(10)10.3→(11)0.7

(지역별) 對아세안·미국·EU·일본·베트남·인도·CIS 증가, 이중 신남방지역인 아세안과 신북방지역인 CIS 지역 및 EU·인도는 두 자릿수 증가

* 수출 증감률(%) : CIS46.2 EU23.7 아세안13.0 인도11.8 일본9.4 미국7.9 베트남2.6 중국△2.5 중남미△12.2 중동△30.6

4) 수출 증가 지역

(아세안) ①반도체(한국산 선호현상 및 자재 수입수요 증대), ②디스플레이(모바일용 조립을 위한 OLED 탑재비중 증가), ③자동차(연말 특수와 프로모션 진행에 따른 수출 일시 증대) 등 호조세 ⇒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역대 수출 1위 기록 갱신

* 아세안 수출 상위기록(억 달러) : (2위)91.2(2017.9), (3위)88.1(2018.10) (4위)85.9(2018.3)
* 수출 증감률(%) : (2018.1)37.5→(2)4.5→(3)2.4→(4)2.6→(5)△2.2→(6)△1.4→(7)△1.9→(8)11.9→(9)△12.7→(10)19.1→(11)13.0
* 11.1-20일 수출(억 달러) : (반도체)11.1(14.0%), (디스플레이)6.8(36.0%), (선박)2.6(1,020.8%), (자동차)1.2(21.0%)
(미국) ①자동차(美 소비자의 SUV 선호기조 지속), ②일반기계(대형 건설 프로젝트 진행 및 높은 가격경쟁력), ③반도체(IoT가 결합된 소비자가전 수요 증가) 등 호조세 ⇒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 美 제조업 PMI(美 공급관리자협회) : (2018.1Q)59.7→(2Q)58.7→(3Q)59.7→(10)57.7
* 수출 증감률(%) : (2018.1)4.4→(2)△11.9→(3)△2.0→(4)△1.5→(5)11.5→(6)7.4→(7)8.7→(8)1.6→(9)△11.8→(10)47.6→(11)7.9
* 11.1-20일 수출(억 달러) : (자동차)8.7(15.6%), (일반기계)4.8(9.5%), (반도체)4.6(95.2%), (차부품)3.3(30.2%)

액화석유가스(LPG)(+59.5%)·천연가스(+75.4%)·석유제품(+941.0%) 등의 對미국 수입이 증가하여 1∼11월(누적) 무역 흑자는 감소세 지속

* 對미국 무역수지/증감률(억 달러) : (2017.11)21.9 → (2018.11)38.0(73.6%)(2017.1∼11)169.3 → (2018.1∼11)127.9(△24.5%)
* 11.1-20일 수입액/증가율(억 달러) : (LPG)2.1(59.5%), (천연가스)1.9(75.4%), (석유제품)0.8(941.0%)

(EU) ①대형 LNG선 인도(그리스·핀란드)에 따른 선박 수출 증가, ②신규 출시·친환경 차량 보조금 지급으로 자동차 수출 호조, ③인프라 투자 증대 및 주거·상업용 건물 건설 증가로 기계설비 수요 증대, ④완성차 생산량 증가에 따른 차부품 수요 증가 ⇒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수출 증감률(%) : (2018.1)10.4→(2)12.0→(3)21.9→(4)△21.8→(5)3.8→(6)1.4→(7)6.9→(8)△4.0→(9)△13.3→(10)37.1→(11)23.7
* 11.1-20일 수출(억 달러) : (선박)9.0(8,597.3%), (자동차)4.2(16.7%), (일반기계)3.4(4.8%), (차부품)2.2(7.6%)

(일본) ①가격경쟁력이 높은 한국산 수입량 증대에 따른 석유제품 수출 증가, ②자동차 및 건설용 강재 수요 증가로 철강제품 수출 호조, ③에어컨·세탁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 선호 ⇒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수출 증감률(%) : (2018.1)21.3→(2)19.6→(3)8.7→(4)17.8→(5)15.2→(6)9.9→(7)17.6→(8)14.4→(9)△2.1→(10)50.5→(11)9.4
* 11.1-20일 수출(억 달러) : (석유제품)3.2(40.6%) (철강)2.0(6.9%), (가전)0.4(9.2%)

(인도) ①철강(인도 자동차 시장 및 제조업 지속 성장), ②일반기계(한국기업의 현지 공장 신·증설, 철강·화학 분야 설비투자 증대), ③반도체(인도 최대 명절인 디왈리 기간 전자 제품 수요 확대), ④무선통신기기(인도 정부의 5G 도입(∼‘20년) 선언에 따른 관련 장비 수요 증가) 등 호조세 ⇒ 3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인도 제조업 PMI(Trading Economics) : (2018.1Q)51.8→(2Q)52.0→(3Q)52.1→(10)53.1
* 수출 증감률(%) : (2018.1)9.7→(2)3.1→(3)△11.1→(4)4.1→(5)18.7→(6)16.9→(7)△5.6→(8)△30.3→(9)11.4→(10)48.6→(11)11.8
* 11.1-20일 수출(억 달러) : (일반기계)1.3(47.7%), (철강)1.1(10.4%),(반도체)0.5(72.6%), (무선통신)0.1(41.2%)

(CIS) ①자동차(2019년 러시아 부가세 인상에 따른 先수요 증가), ②차부품(동절기 자동차 정비수요 증가), ③일반기계(러시아·카자흐스탄 제조업 육성정책 강화), ④석유화학(한국 제품 선호 및 러시아 부가세 인상에 따른 물량확보) 등 품목 호조 ⇒ 5개월 연속 증가

* 수출 증감률(%) : (2018.1)48.4→(2)1.2→(3)△1.6→(4)12.8→(5)16.7→(6)△28.6→(7)19.3→(8)25.4→(9)9.9→(10)83.9→(11)46.2
* 11.1-20일 수출(억 달러) : (자동차)1.8(83.5%), (차부품)1.3(92.8%), (일반기계)1.3(110.9%), (석유화학)0.3(46.1%)

(베트남) ①스마트폰 생산 증대에 따라 관련 핵심 부품인 디스플레이·반도체 수출 호조, ②합성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를 중심으로 현지 플라스틱제품 생산을 위한 원료 수요 증대, ③연말 각종 프로모션 행사에 따른 구입 수요 증대로 자동차 수출 호조세 ⇒ 對베트남 수출 2개월 연속 증가

* 수출 증감률(%) : (2018.1)53.2→(2)14.0→(3)△3.1→(4)△17.5→(5)△9.0→(6)△8.9→(7)7.7→(8)15.9→(9)△16.6→(10)10.1→(11)2.6
* 11.1-20일 수출(억 달러) : (디스플레이)6.6(37.5%), (반도체)5.8(40.8%), (석유화학)1.2(19.7%), (자동차)0.7(40.9%)

5) 수출 감소 지역

(중국) ①반도체·석유화학·철강제품 등 수출 호조 불구, ②디스플레이(중국 신규 공장 양산 영향), ③무선통신기기(중국산 브랜드 시장점유 확대) 등 부진, ④2017.11월 기저효과(140.0억 달러, +20.4%) 영향

* 수출 증감률(%) : (2018.1)24.4→(2)3.6→(3)16.5→(4)23.1→(5)30.0→(6)29.5→(7)27.2→(8)20.9→(9)7.7→(10)17.6→(11)△2.5
* 11.1-20일 수출(억 달러) : (반도체)27.2(1.4%), (석유화학)12.4(4.2%), (철강)2.3(0.6%)(디스플레이)5.5(△28.6%), (석유제품)3.8(△3.2%), (무선통신기기)1.9(△61.2%)

(중남미) ①일반기계·자동차·철강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②차부품 현지 자동차 생산량 감소), ③반도체(단가 하락·현지 공급원 다변화), ④디스플레이(중국산 제품 점유율 증가, 단가하락), ⑤가전(한국 업체들의 현지 생산 확대) 등 영향

* 수출 증감률(%) : (2018.1)34.6→(2)△3.6→(3)△8.1→(4)△3.7→(5)2.3→(6)△8.1→(7)23.2→(8)8.2→(9)△42.7→(10)44.7→(11)△12.2
* 11.1-20일 수출(억 달러) : (일반기계)1.3(18.9%), (자동차)1.2(9.3%), (철강)1.1(16.0%)(차부품)1.4(△5.2%), (반도체)0.6(△22.8%), (디스플레이)0.3(△60.3%), (가전)0.2(△18.5%)

(중동) ①중동 지역 경기회복 둔화 등으로 자동차·차부품 수출 부진, ②대형 프로젝트 발주 중단에 따른 일반기계·철강 수출 감소, ③美 셰일오일 기반의 저가 폴리에틸렌 제품 대량 유입 등에 따른 석유화학제품 부진 등 영향

* 수출 증감률(%) : (2018.1)3.9→(2)△10.3→(3)△23.2→(4)△1.8→(5)△6.7→(6)△10.7→(7)21.2→(8)△8.1→(9)△27.3→(10)△3.8→(11)△30.6
* 11.1-20일 수출(억 달러) : (자동차)2.2(△3.8%), (일반기계)0.9(△41.0%), (철강)0.8(△8.5%), (석유화학)0.6(△30.4%), (차부품)0.5(△38.4%)

4. 가공단계별 수입 동향

11월 수입은 467.8억 달러(전년동기대비 11.4%)로 2개월 연속 증가

* 수입 증감률 : (2018.5)13.0→(6)11.0→(7)16.4→(8)9.4→(9)△1.6→(10)28.1→(11)11.4

원유·액화 천연가스(유가 상승), 디젤차·의약품(국내소비 확대) 등 품목을 중심으로 증가

5. 11월 수출 평가

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장관은 “11월 수출은 사상 최초 7개월 연속 및 연간 8번째 월간 수출 500억 달러를 달성하였으며” “연간 무역액이 역대 최단기간 1조 달러를 돌파함으로써 2015∼2016년 무역 1조 달러 클럽을 이탈한 이후 2017년부터 2년 연속 무역 1조 달러 클럽 재진입에 성공했다“라고 말하면서,

특히, “금년 수출은 역사상 최초로 6,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세계 6위 수출국의 위상을 공고히 하면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다해 준 점에 큰 의의가 있다“라고 평가함

* (국가별 수출액(억 달러), 2017년) 中(22,634), 美(15,463), 獨(14,482), 日(6,981) 네(6,516)

“다만,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美 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 등 향후 대외 수출 여건이 녹록치 않다”면서

* 주요 신흥국 달러대비 통화가치 증감률(2018.1월→11월, %) : (아르헨)△91.6, (터키)△42.2, (남아공)△15.7

산업부는 “내년에도 수출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해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①우리 수출의 하방요인에 총력 대응하는 한편, ②수출구조의 질적 고도화 및 ③수출시장·품목의 다변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출처에서 확인 바랍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단순 소모품 교환 등 자동차정비견적서 발급 면제, 자동차관리법 개정

한랭질환자 31%가 12월말부터 1월초 발생 사전 대비 필요

가을 국립공원 산책로 7곳! 가족과 함께 신나는 힐링 여행 떠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