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추락사고인 게시물 표시

실내 인공 암벽등반 추락사고 급증! 안전수칙 지키는 법

이미지
실내 암벽등반 인기, 하지만 사고도 급증 중입니다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실내 인공 암벽등반(스포츠클라이밍)은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실내 스포츠입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관련 안전사고가 총 202건으로 집계되며 2023년 이후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볼더링’ 형태의 등반이 많아 줄 없이 맨몸으로 오르는 만큼 추락 위험이 크다고 합니다.     추락사고 10건 중 8건, 20~30대가 절반 이상 실내 암벽등반 사고 중 83.7%가 추락으로 인한 부상이며, 20대(50.8%)와 30대(18.6%)가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착지 미숙으로 인한 발목·다리 부상이 많았고, 골절과 탈구 같은 중상도 적지 않았습니다. 사고 유형 비율(%) 주요 부위 주요 증상 추락 83.7% 다리·발(40.6%) 골절·탈구 부딪힘 3.9% 팔·손(20.8%) 타박상 기타 12.4% 몸통(15.8%) 염좌·부종 맺음말 실내 암벽등반은 꾸준히 성장 중인 레저 스포츠지만, 안전 인식이 부족하면 즐거운 취미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시설 내 안전장비 점검과 초보자 교육 강화가 병행되어야 하며, 이용자 스스로도 ‘천천히 내려오기’와 ‘양발 착지 후 무릎 굽히기’ 같은 기본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안전수칙을 생활화한다면, 실내 암벽등반은 건강과 성취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스포츠가 될 것입니다. 실내 암벽등반 안전수칙 자세히 보기

봄 산행, 덜 녹은 얼음과 서리에 미끄러지기 쉬우니 주의하세요!

이미지
행정안전부 가 최근 포근해진 날씨로 산행에 나서는 국민들이 많아짐에 따라 등산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3월은 평소 산행을 하지 않던 분들도 봄의 정취를 느끼기 위해 산에 오르는 경우가 있어 등산사고의 위험이 높다. 최근 5년(2015~2019년, 합계) 동안 발생한 등산사고는 총 34,671건이며, 25,770명(사망‧실종 886명, 부상 24,884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중 연간 발생하는 등산사고의 24.6%(총 34,671건 중 8,513건)가 봄에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건수는 3월부터 5월까지 꾸준히 증가한다. ※ 봄철 인명피해 24.6%(총 25,770건 중 6,336건사망 139, 실종 78, 부상 6,119) 주된 사고원인은 발을 헛디디며 발생하는 실족‧추락 사고가 33.7%(총 34,671건 중 11,690건)를 차지한다. 그밖에 조난(19.8%)이나 안전수칙 불이행(17.0%), 개인질환(11.1%) 순으로 사고가 발생했다. 3월은 겨울과 봄이 공존하는 시기로 아직 녹지 않은 얼음과 계절적 특성으로 인한 서리와 이슬로 등산로가 미끄러울 수 있다. 이에, 고도가 높은 곳이나, 그늘진 응달, 낙엽 아래에는 아직 덜 녹은 얼음이 있을 수 있으니 발밑을 조심하여야 한다. 특히, 암반 지대나 바윗길은 이슬 등으로 젖으면 더욱 미끄러지기 쉬우니 각별히 주의하도록 한다. ※ 2021.3.10. 경기 양주시 북한산 산행 중 추락사고(구조 1명) 등산화는 바닥 면의 마찰력이 좋은 것으로 선택하고, 등산지팡이를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요즘처럼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에는 산행 시 보온 등에 유의하여야 한다. 덧입을 수 있는 여벌의 옷을 챙기거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체온을 조절하는 것도 좋다. 이른 봄에는 겨우내 얼었던 땅이 풀리면서 바위 등이 떨어져 내리는 낙석이 발생하기 쉬우니 낙석주의 표지판 등이 있는 곳은 우회하도록 한다. 아울러, 산행은 가벼운 몸풀기로 시작하고 하산 때까지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의 일정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