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미취업 청년을 위한 어학시험·자격시험 응시료 및 수강료 지원

이미지
경기도가 미취업 청년을 위해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와 수강료를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신청은 5월 2일부터 시작되며, 자세한 내용은 확인해보세요. 경기도, 미취업청년에게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와 수강료까지 최대 30만 원 지원 경기도 미취업 청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소개 경기도에서는 미취업 청년들을 대상으로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와 수강료를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고 청년들의 미래를 밝게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신청 자격 및 기간 이 프로그램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미취업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며, 신청 기간은 5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입니다. 신청은 일자리재단 통합접수시스템 잡아바 어플라이 에서 이뤄집니다. 지원 내용과 범위 응시료뿐만 아니라 수강료까지 실비로 지원되며, 개인당 최대 30만 원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과 범위는 지원 연도 기준 청년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응시료와 수강료 지원 대상 및 지원 방법 응시료는 어학 시험 19종, 자격시험 등 총 909종을 지원하며, 수강료는 응시료 지원 분야와 관련된 내용을 학원 등에서 수강한 경우에 지원됩니다. 신청은 잡아바 어플라이를 통해 이뤄집니다. 어학 시험 19종 (TOEIC, 토플, 영어회화능력평가,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중국어회화능력평가, 일본어회화능력평가, 프랑스어회화능력평가, 독일어회화능력평가, 스페인어회화능력평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국가기술자격 545종 국가전문자격 248종 (2024년 신규 추가) 국가공인민간자격 96종 지원 사업의 의의와 향후 전망 경기도는 미취업 청년들의 취업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경기청년 역량강화 기회 지원 사업’은 미취업 청년들이 어학·자격시험을 통해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고 취업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27(목)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2019년 귀농귀촌실태조사 주요 결과

▲ 2019년 귀농귀촌실태조사 주요 결과

▲ 2019년 귀농귀촌실태조사 주요 결과


<조사 개요>
▶ 조사근거 :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
통계법 제18조 및 제20조
▶ 조사기관․방식‧기간 : ㈜한국갤럽, 면접조사, 2019. 11월~2020. 2월
▶ 조사대상 : 최근 5년간(2014~2018) 귀농․귀촌 4,167가구(귀농 2,081, 귀촌 2,086)
* 전년도 11.1~ 당해연도 10.31 기간동안 도시지역에서 농촌(읍․면) 지역으로 주소지를 이전한 사람중 당해연도에 농업경영체․농지원부․축산업등록부에 등록한 사람은 귀농인, 그 외는 귀촌인에 해당(학생, 군인, 직장근무지 이동으로 인한 일시적 이주 등 제외)
▶ 신뢰수준‧표본오차 :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2%p

1. 주요 조사결과

① 귀농귀촌 유형

10가구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는 경우  (U‧J턴형 및 일부 I형)에 해당

* (U턴형)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 이주(귀농 54.4%, 귀촌 29.5%)

(J턴형)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 이주(J턴형, 귀농 21.5%, 귀촌 27.7%)

(I형)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귀농 7.4%, 귀촌 10.8%),

다만, 귀촌 가구의 31.9%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

② 귀농귀촌 이유

(귀농) 자연환경(28.6%),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26.4%), 가족 생활(10.4%) 순으로 응답

(귀촌) 정서적 여유(21.2%), 자연환경(19.3%), 저렴한 집값(13.6%) 순으로 응답

③ 귀농귀촌 준비

(귀농 준비기간) 귀농준비에는 평균적으로 25.1개월이 소요

준비기간 동안 정착지역 탐색(40.7%), 주거·농지 탐색(32.5%), 귀농 교육(12.8%) 등을 수행

(귀농귀촌 교육) 귀농가구의 59.9%, 귀촌가구의 21.1%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십 등 교육을 이수

<연령별 특이사항> 연령이 높을수록 사전교육 미이수 비율이 높음

교육 미이수 : (30대 이하) 24.4%, (40대) 31.5, (50-60대) 42.8, (70대 이상) 66.4

귀농귀촌 교육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28.6%), 현장실습 연계 강화(20.3%) 등을 응답

(귀농귀촌 정보 획득) 주요 정보취득 경로는 가족 또는 지인(귀농 56.8%, 귀촌 60.7%)

* 정보획득경로(귀농/귀촌) : 가족 또는 지인(56.8%/60.7%), 관련기관(19.9/13.3), 대중매체(9.8/18.8), 교육(10.9/4.6) 등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귀농가구 27.3%, 귀촌가구 41.7%가 정보획득의 어려움을 꼽음

④ 귀농귀촌 전‧후 소득 변화

(귀농) 귀농 1년차 가구소득은 2,828만원이며, 귀농 이후 5년차(3,895만원)까지 귀농전 평균 가구소득(4,400만원)의 88.5% 수준으로 회복

귀농 가구의 48.6%가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 경제활동을 수행

* 귀농가구 농업외 경제활동 : 직장취업(24.6%), 농산물·가공식품 직접 판매(23.8), 임시직(21.9), 자영업(17.9), 비농업부문 일용직(12.7), 농업 임금노동(10.0) 등

(귀촌) 귀촌전 평균 가구소득은 4,038만원으로 4년차(4,058만원)에 귀촌전 소득을 회복

* 연차별 소득(귀농/귀촌) : 1년차(2,828만원/3,279만원) → 2년차(3,257/3,606) → 3년차(3,303/3,635) → 4년차(3,794/4,058) → 5년차(3,895/4,200)

⑤ 귀농귀촌 전‧후 지출

귀농귀촌전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가구 282만원, 귀촌가구 259만원 수준이나, 귀농귀촌후 귀농가구 201만원, 귀촌가구 213만원으로 조사

생활비는 주로 식비, 주거·광열·수도·전기세, 교통통신비, 교육비 순으로 지출

* 귀농/귀촌 : 식비(38.6%/51.9%), 주거·광열·수도·전기(20.3/16.9), 교통통신비(13.7/6.3), 교육비(10.9/12.3), 건강·의료소비(9.8/4.7), 문화·여가생활비(4.5/7.0)

⑥ 귀농귀촌 후 생활

(주거) 거주 주택의 종류는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귀농 86.0%, 귀촌 53.0%), 아파트․연립주택(귀농 9.3%, 귀촌 44.0%)순으로 조사

점유형태는 자가(귀농 75.6%, 귀촌 59.5%), 전월세(귀농 17.5%, 귀촌 35.5%), 지원정책 활용(마을 내 빈집, 귀농인의 집 등 임시거주 : 귀농 4.4%, 귀촌 3.0%) 순

(지역 융화)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다(귀농 74.7%, 귀촌 56.1%)고 응답한 비중이 높게 조사

* 좋지도 나쁘지도 않음 : 귀농 23.9%, 귀촌 42.4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귀농 1.4%, 귀촌 1.5%로 나타났으며, 응답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은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 이해충돌, 마을공동시설 이용문제 등

* 귀농/귀촌 : 선입견과 텃세(56.0%/51.5%),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17.0%/11.1%), 마을공동시설 이용(11.3%/12.1%), 집/토지 문제(10.4%/7.8%)

(확충필요 공공서비스)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약계층 일자리, 노인돌봄서비스, 교통서비스 등으로 조사

(만족도) 귀농․귀촌 10가구중 6가구(귀농 57.8%, 귀촌 67.0%)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3가구(34.9%, 30.5%)는 보통, 1가구(7.3%, 2.6%)는 불만족

만족(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불만족, 매우 불만족)으로 응답

주요 불만족 이유로 귀농은 영농기술․경험부족(28.5%), 자금부족(27.8%), 귀촌은 자금부족(43.3%), 영농기술․경험부족(30.0%)을 응답

2. 귀농귀촌 정책 추진방향

◇ 귀농귀촌 교육 지원 강화 및 맞춤형 정보 제공
◇ 청년층 농업창업, 귀농귀촌인 농외 소득활동 지원 등 강화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추진으로 귀농귀촌인의 안정적 정착 지원

① 귀농귀촌 교육 지원 강화 및 맞춤형 정보 제공

교육 수요가 집중되는 도시지역 귀농귀촌 교육을 중점 개선한다.

귀농귀촌인 대부분이 농업기술센터에 교육을 의존하나, 그간 기술센터가 제공하는 귀농귀촌 교육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수요에 미치지 못했다.

* (양적 측면) 농업기술센터가 없는 시군 13개, 교육기관당 귀농귀촌인 5천명 이상 담당 시군 14개
* (질적 측면) 기초 품목‧기술교육 중점, 도시지역은 지역융화‧귀농설계 교육 부족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국 시‧군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주민갈등, 정착실패 사례 등 농촌공동체 이해 및 귀농설계 교육을 보강하고,

특‧광역시 및 기술센터가 없는 지역(13개 시‧군)은 도시농협을 교육‧상담 지원 창구로 활용하여, 자산관리‧세제‧금융 등 도시농협의 전문성을 살린 특화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귀농귀촌 희망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도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는 어려움 해소를 위해, 귀농귀촌 통합 정보제공 서비스를 도입하여 지자체가 귀농귀촌 희망자에게 지역정보‧지원정책 등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 귀농귀촌 희망자가 제공한 DB(성명, 연락처 등 개인식별정보, 귀농귀촌 희망지역‧품목, 관심분야 등)를 활용하여 지자체가 지역정보‧지원정책 등을 문자, 메일 등 활용 제공

이와 함께, 연령‧가족정보 등 간단한 정보 제공만으로 배경이 유사한 사람들의 귀농지역‧품목 선택 경향, 해당지역 정주여건 등을 사전에 확인해 볼 수 있는 귀농품목‧지역정보 지원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② 귀농귀촌후 소득기반 등 정착지원 강화 추진

청년층 농업창업 지원 강화를 위해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을 통해 만 40세 미만 청년 1,600명을 신규 선발하여 영농정착지원금과 창업자금(3억원 한도) 및 농지임대 우선지원, 영농기술 교육 등을 종합지원하고,

* 영농정착지원사업 귀농인 지원 비중 : 2018년 72.4% ’19년 69.8%

‘청년농 창업·투자 심층컨설팅 사업’을 신설하여, 일정규모(2억원) 이상 농업투자를 하려는 2040세대 농업인들의 투자 실패 최소화도 지원한다.

귀농귀촌인의 농외 소득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귀농 자금을 지원받은 경우에도 단기 취업 및 타산업분야 사업자 등록을 일부 허용하는 등 지원요건을 완화하고,

* 체험․판매(숙박, 식품접객업 제외) 및 보유 주택․시설 지붕 활용 태양광 설치에 한함

시‧군의 귀농귀촌 지원센터(71개소)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고용센터, 새일센터 등과 연계하여 귀농귀촌인의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도 전국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③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추진으로 귀농귀촌인의 안정적 정착 지원

지역거점 공공병원 시설‧장비 현대화,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등 의료‧보육 지원을 강화하고, 농어촌 학생 통학버스 지원, 공공‧작은 도서관 확충 등 교육‧문화 서비스 접근성을 보완한다.

귀농‧귀촌인 및 청년창업농 등의 주거안정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보급, 유휴시설을 활용한 창업공간 지원 등 일자리 창출 노력도 병행한다.

이러한 보건‧복지, 교육‧문화, 정주생활기반 조성 등을 위해 앞으로 5년간 약 51조원을 투융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귀농귀촌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 강화방안을 마련하였다”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정책환경과 귀농귀촌 실태를 반영한 면밀한 정책보완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웹드로우 무료홈페이지03번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 현황

봄철에는 영양소가 풍부한 ‘숭어’와 ‘해조류’를 맛보세요

영문 운전면허증 사용국 37개국으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