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생산 저지종 우유, 원산지와 큰 차이 없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도입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육 중인 저지종(Jersey) 젖소의 우유 생산성과 유질을 평가한 결과, 원산지인 캐나다와 큰 차이가 없었다고 밝혔다.
* 원산지 : 저지종은 영국의 저지섬에서 기원한 품종으로, 여기서 원산지는 국립축산과학원이 수정란을 도입한 캐나다를 말함.
저지종의 우유 생산량은 일반 얼룩젖소인 홀스타인종의 3분의 2 수준으로 적지만, 우유 내 고형분 함량이 높아 유제품 제조 시 홀스타인종보다 치즈나 버터를 더 많이 만들 수 있다.
또한 단백질과 미네랄 함량이 높고, 지방구(脂肪球, 우유 내에 분산되어 있는 미세한 지방입자)가 크고 노란 빛깔을 띠어 '골든 밀크(Golden milk)'라고 불린다.
농촌진흥청은 홀스타인 젖소의 여름철 생산성 문제를 극복하고 낙농 6차산업 활성화를 위해 2013년부터 저지종 송아지를 생산하며 국내 도입 가능성을 검증해 왔다.
첫 송아지를 낳은 집단을 분석한 결과, 홀스타인종과 비교해 우유 생산량은 약 59% 수준으로 낮았으나 우유 단백질(3.8%)과 지방(4.88%) 및 고형분 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즉, 같은 양으로 체다치즈를 만들 경우 홀스타인종보다 13% 정도 더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유 내 칼슘, 인, 마그네슘 등 미네랄 함량이 풍부했는데, 특히 칼슘은 홀스타인종 우유보다 60% 정도 더 많아 효과적인 칼슘 섭취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캐나다산 저지종 우유의 단백질(3.8%), 지방(5.02%) 성분과 비슷한 수치(2015년 캐나다 낙농정보센터에서 제시한 수치)로서, 국내 홀스타인종과 같은 사양조건에서도 원산지인 캐나다와 유사한 우유생산성 및 유질 특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저지종 젖소는 환경적 측면에서 같은 양의 단백질, 지방 및 고형분 생산 시 홀스타인종보다 물과 토지 사용량이나 배설량이 적고 고온에 잘 적응하는 특성이 있다.
최근 미국과 캐나다에서도 등록마릿수가 증가하고 있으며4), 우리나라에서도 치즈 등 유제품의 소비가 늘면서 이에 적합한 우유 생산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저지종 등록두수가 최근 각각 3.8%와 2.4% 증가(참조 : USJersey, JerseyCanada)
※ 미국 : (2014)118,235→ (2015)122,701마리, 캐나다 : (2014)8,831→ (2015)9,045마리
책임운영기관인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 임동현 농업연구사는 “저지종 젖소의 국내 사육 확대를 위해 산차(동일개체의 과거분만 횟수)별 산유량과 유질, 번식성적 등을 반영한 경제성 분석을 추가적으로 추진해 농가에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낙농과장 박범영, 낙농과 임동현 041-580-3384
출처 : 농촌진흥청